앞서 삼성에서 만든 로봇청소기인 탱고뷰의 주요기능인 청소관련 기능들을 살펴보았다.
케어모드라고 불리는 전방센서 및 낙하방지센서등으로 가구와 청소기 스스로를 보호하면서도 비교적 적은 소음으로 괜찮은 청소성능을 보여줬었는데..
이런 청소기능은 청소기라면 당연히 지원하는 기능이었고 이번엔 탱고뷰만의 매력인 “홈 모니터링” 기능을 살펴보자.
탱고뷰의 홈 모니터링 기능은 쉽게 비유하자면 움직이는 CCTV 혹은 웹캠과 같다.
탱고뷰에 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가 달려있어서 외부에서 탱고뷰와 통신하여 탱고뷰의 카메라로 집안상황을 볼 수 있고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집안에서 나는 소리도 듣고 내 음성을 집안에 전달할 수도 있는 기능이다.
1. 홈 모니터링을 위한 준비
앞서 탱고뷰를 소개하면서 구성품으로 탱고뷰용 유무선공유기가 함께 있다고 했는데..
이 공유기가 탱고뷰와 무선LAN으로 연결되어 탱고뷰를 제어하고 탱고뷰에 있는 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해 영상과 음성을 전송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로봇청소기와는 달리 탱고뷰는 반드시 설치기사의 방문이 필요하다.
이미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공유기가 있다면 탱고뷰의 구성품으로 제공된 공유기로 교체하면 쉽게 탱고뷰의 홈 모니터링을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할 수 있지만..
IPTV를 사용하는 경우엔 반드시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공유기를 사용해야한다.
(솔직히 반드시는 아니고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공유기라면 통신사 공유기를 대체해도 되지만 안타깝게도 탱고뷰의 구성품으로 들어간 공유기는 이런 멀티캐스트를 지원하지 않는듯 하다.)
말로 설명하면 복잡하니 아래 구성도를 보자..
![](https://docs.google.com/document/pubimage?id=1ZHHJdC-pkVlVaHbBlJe0UGamr2EoQPg2ZI3FTNEGew4&image_id=1rdiDSkL9-akGLsa8ZNeOGXvJH3-MG2U)
(탱고뷰 홈 모니터링 네트워크 구성도)
탱고뷰의 유무선공유기가 인터넷에만 연결되면 외부에서 이 공유기를 통해 접근하는 구조다.
이런 구조에서 중요한것은 외부PC나 스마트폰에서 탱고뷰를 제어하는 포트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외부에서 내부기기에 대해 특정포트의 접근을 위해서는 “포트포워딩” 이라는 설정이 필요하다.
로컬 IP주소는 탱고뷰의 구성품으로 받은 유무선공유기로 할당한 IP주소이고, 탱고뷰의 홈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10001(TCP), 20001(TCP), 20005(UDP)의 3가지 포트를 설정해준다.
![](https://docs.google.com/document/pubimage?id=1ZHHJdC-pkVlVaHbBlJe0UGamr2EoQPg2ZI3FTNEGew4&image_id=1yeCRYCiKz0zrFbmb5n4SCwehKvngLPM)
(탱고뷰의 제어를 위한 포트)
이런 어찌보면 복잡한 설정은 설치기사분이 오셔서 대부분 설정을 해주니 일반소비자 입장에선 굳이 알필요는 없다.
하지만 나중에 이사를 간다거나 인터넷 통신사를 변경할 경우 등등 언제든지 인터넷환경에 변할 수 있기에 이해할 수 있다면 이해해두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네트워크 설정은 이정도로 마무리하고 또하나 중요한 것은 홈 모니터링을 위한 계정생성이 필요하다.
탱고뷰의 홈 모니터링을 위한 계정생성은 아래 사이트에서 만든다
삼성로봇청소기 탱고뷰 웹뷰어 : http://www.tangoview.co.kr
삼성에서는 일명 “세콤”으로 불리는 삼성에스원의 보안서비스가 있는데 탱고뷰의 홈 모니터링은 이런 세콤의 보안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가 보다.
![](https://docs.google.com/document/pubimage?id=1ZHHJdC-pkVlVaHbBlJe0UGamr2EoQPg2ZI3FTNEGew4&image_id=1uZkwTkUDls6iW1_fnYtuoQdjG0vwWf8)
(세콤의 탱고뷰 접속용 사이트)
계정생성은 아이디, 이름, 생년월일, 비밀번호 정도의 정보를 입력한다.(생년월일은 왜??)
계정을 생성하고 나서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https://docs.google.com/document/pubimage?id=1ZHHJdC-pkVlVaHbBlJe0UGamr2EoQPg2ZI3FTNEGew4&image_id=1M2AK29DtseSKKNph3g65St4jBx8P14w)
(탱고뷰 홈 모니터링 홈페이지)
여기서 한가지 더 해야할 것은 메뉴의 “비밀번호 변경” 이다.
이때 설정하는 비밀번호는 이 세콤홈페이지의 비밀번호가 아닌 탱고뷰에 접속하기 위한 비밀번호이다.
내 집안의 곳곳을 살펴볼 수 있는 기능이기 때문에 이중의 안전장치를 해둔것이라고 보면 되겠다.
마지막으로 요즘 유행하는 스마트폰에서도 탱고VIEW앱을 지원하고 있다.
안드로이드용 탱고VIEW앱 : http://goo.gl/VKYw2
물론 아이폰도 지원하니 마켓에서 찾아보기 바란다.
스마트폰을 통한 탱고뷰 접속의 경우 삼성전자에 전화를 해서 내 스마트폰 전화번호를 미리 말해줘야 한다.
아마도 스마트폰의 경우 핸드폰번호로 어떤 탱고뷰와 연결할지 선택하는 것 같다.
경험상 핸드폰 번호가 등록되는데는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니 처음에 접속이 안된다고 해서 고민하진 말기 바란다.
2. 탱고뷰 홈 모니터링 접속
이제 집밖에서 탱고뷰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으니 실제 홈 모니터링 서비스를 이용해보자.
먼저 PC에서의 홈 모니터링 서비스를 위해서는 아까 세콤 홈페이지 하단에 탱고뷰 아이콘을 클릭하면 된다.
이때 앞서 설정한 탱고뷰접속용 비밀번호를 물어본다.
![](https://docs.google.com/document/pubimage?id=1ZHHJdC-pkVlVaHbBlJe0UGamr2EoQPg2ZI3FTNEGew4&image_id=1v4WryVOv1tQxGxfSlcbCBDAsiQ0W7Ak)
(탱고뷰 접속용 비밀번호)
탱고뷰접속용 비밀번호로 한번더 인증에 성공하면 이제 본격적으로 탱고뷰로 홈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한가지 알려드릴점은 외부에서 탱고뷰에 접속하면 탱고뷰는 “외부에 영상전송을 시작합니다.” 라고 우렁차게 외친다. 특히 이 멘트는 설정으로 없애지도 못한다.
이 멘트 역시 사생활 보호차원이 아닌가 싶다.(누군가 몰래 접속할 수 있으니 말이다.)
![](https://docs.google.com/document/pubimage?id=1ZHHJdC-pkVlVaHbBlJe0UGamr2EoQPg2ZI3FTNEGew4&image_id=1UPSqgNvJr2vppfHsG9fg9KH1QkKPZJI)
(탱고뷰 홈 모니터링 사용 모습)
메뉴를 보면 위쪽에는 홈 모니터링과 관련된 메뉴들이 보인다.
마이크는 탱고뷰의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원격에서 집안에서 나는 소리와 내 음성을 탱고뷰를 통해 집안에 들려줄 수도 있다.
조명은 탱고뷰에 있는 LED 조명을 켜고 끄는 기능이다.
저녁에 집안이 어두울때나 쇼파 또는 가구밑에 들어있는 경우 아주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위쪽 메뉴 옆에는 현재 탱고뷰의 작업현황을 보여준다.
청소중, 충전중, 충전복귀중, 대기중 4가지의 탱고뷰 작업상태가 있고 현재상태의 아이콘에 불이들어온다.
그리고 아랫쪽엔 탱고뷰에서 보내온 영상화면이 보이고 그 오른쪽에는 탱고뷰의 상태와 탱고뷰를 PC에서 제어할 수 있는 메뉴가 보인다.
탱고뷰 상태는 탱고뷰용 유무선공유기와의 무선연결을 위한 Wi-Fi 수신감도와 배터리 충전정도, 장애물감지 유무가 있다.
위 화면을 보면 탱고뷰 영상화면앞에 검은 물체가 있는데 이를 “장애물”로 인식해서 장애물 감지 아이콘을 보여주고 있다.
탱고뷰를 전진시키거나 좌우 방향전환도 가능하다.
그리고 청소기능중 일부인 자동청소, 예약청소, 정지 명령도 내릴 수 있다.
터보나 가장자리모드를 제어할 수도 있으면 좋을텐데.. 몇가지 지원하지 않는 기능은 좀 아쉽지만.. 집안상황을 보고 언제든 청소를 시킬 수 있으니 이정도만으로도 충분히 편하다.
마지막으로 충전 으로 복귀시키는 명령도 내릴 수 있다.
탱고뷰를 PC에서 제어하는 모습은 직접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길 바란다.